Customer Service

고객센터

“자고 일어나니 불길”…배터리 화재 678건, 충전 습관이 원인
최고관리자 2025-07-17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급증하면서 생활 속 안전수칙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과충전, 관리 부주의, 고온 방치 등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며, 관련 사고 예방을 위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15일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화재는 총 678건 발생했다. 2020년 98건이었던 사고는 2024년 117건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전동킥보드 화재가 485건(약 70%)으로 가장 많았다. 전기자전거 111건, 휴대폰 41건, 전기오토바이 31건, 전자담배 10건 등이 뒤를 이었다.


“자기 전 충전은 금물”…안전수칙 꼭 지켜야


소방청은 이 같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제품 구매부터 충전, 보관, 폐기까지 일상 속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배터리와 충전기는 반드시 KC마크가 있는 정품을 사용해야 하며, 사용 중 타는 냄새, 배터리 부풀음, 과열 등의 이상 징후가 나타날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 수리업체에 점검을 의뢰해야 한다.

충전 습관도 핵심 요인이다. 충전이 완료되면 플러그를 바로 뽑아 전원을 차단하고, 외출하거나 잠든 동안의 장시간 충전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특히 현관문·비상구 등 대피 통로 주변에서의 충전은 절대 금지된다.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충전은 통풍이 잘 되고 가연성 물질이 없는 장소에서 이뤄져야 하며, 보관 시에는 직사광선과 습기를 피하고 서늘한 장소가 적합하다.


폐기할 땐 단자 절연테이프로…멀티탭 과부하도 주의


사용이 끝난 배터리도 방치하거나 잘못 폐기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단자 부분을 절연테이프로 감싼 뒤, 지자체 수거함이나 제조사 회수 경로를 통해 처리해야 한다. 수거·운반 과정에서의 파손이 화재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리튬이온배터리의 부주의한 사용은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다”며 “국민 여러분의 작은 실천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폭염으로 전기설비 과부하와 멀티콘센트 사용량 증가에 따른 화재 위험이 높아졌다”며 “현재 화재위험경보를 ‘경계’ 단계로 유지하고 있으니 전열기기 관리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58009?sid=102

0건의 글이 있습니다.

협력업체

닫기
TOP